transactional outbox2 [Transactional Outbox] CDC 기반의 transaction log tailing 구현 [Transactional Outbox] 개요 에서는 Transactional Outbox pattern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을 살펴보았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CDC를 사용하여 transaction log tailing 방식을 구현하는 예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전체 코드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개요다음과 같은 아키텍처의 Transactional Outbox pattern을 구현한다. 동일한 transaction 내에서 서비스 데이터 업데이트와 도메인 이벤트 데이터 저장을 한다.CDC를 통해 DB에 도메인 이벤트 데이터가 추가되었음을 감지하고, '데이터 추가됨 이벤트'를 Kafka topic으로 발행한다.2 에서의 '데이터 추가됨 이벤트' message를 가져온 다음, 이를 도메인 이벤.. 2024. 11. 25. [Transactional Outbox] 개요 꼭 MSA가 아니더라도 개발팀의 규모에 따라 API 서버가 도메인/서비스 별로 분리되어 개발되는 경우가 있다.이때 하나의 서비스에서 이벤트 발생 시 다른 서비스에서도 특정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곤 한다. 예를 들어 '게시판 기반 커뮤니티' 앱에서 '회원 서비스'와 '게시판 서비스'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회원 탈퇴 시 해당 회원의 게시물을 삭제/숨김 처리해야하는 경우가 있다.단순한 개발을 위해 직접적으로 '회원 서비스'가 '게시판 서비스'로 직접 호출을 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어떤 이유로 인해 '회원 서비스'에서 '게시판 서비스'로 호출을 실패하거나 '게시판 서비스' 호출을 성공하였으나 그 이후 작업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게시판 서비스'에서만 데이터가 처리되었고 '회원 서.. 2024. 11. 25. 이전 1 다음